글 수 267


 

https://brunch.co.kr/@kakao-it/243

 

 

 

카카오미니에서는 문장의 의미를 두 가지 단계로 판단합니다. 첫 번째는 음악, 라디오, 뉴스 등 어떤 주제의 봇인지 결정합니다. 두 번째는 무슨 작업을 원하는지 의도를 파악합니다. 같은 문장이라도 주제에 따라 다른 명령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키워드 매칭으로 하면 문장의 순서나 문맥이 다르면 정확하기 의미를 분류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카카오미니에서는 딥러닝의 기법인 CNN을 사용해서 이런 작업을 처리하였다고 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18 Amazon Prize에서 우승한 Gunrock 소셜봇 file 깊은바다 2018-12-26 553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처리 깊은바다 2018-05-17 559
WizardLM의 Evol-instruct로 직접 한글 데이터셋을 만든 모델 file 깊은바다 2023-06-19 563
구글의 딥러닝 대화 모델 - LaMDA 깊은바다 2021-06-13 576
인공지능과 함께 글쓰기! 창의 AI x Bookathon 대회 - GPT2 깊은바다 2019-11-30 577
이성에게 말을 거는 작업멘트를 GPT-3로 생성 file 깊은바다 2021-03-24 578
GPT2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사이트 - Talk to Transformer file 깊은바다 2020-06-05 581
인터넷 검색을 하고 장기기억을 저장하는 페이스북의 챗봇 - Blenderbot 2 file 깊은바다 2021-07-19 586
페르소나를 가진 대화 학습 - Personalizing Dialogue Agents file 깊은바다 2018-09-19 599
문장 입력 이진분류 모델 레시피 - 영화평점 학습 [3] 깊은바다 2018-04-04 601
책 한권을 입력으로 받는 구글의 딥러닝 모델 - Reformer 깊은바다 2020-01-17 617
RAG 아키텍처의 이해 깊은바다 2023-07-23 621
포자랩스의 작사/작곡 인공지능 file 깊은바다 2018-08-31 624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처리의 연구동향 깊은바다 2018-10-04 624
대화 인공지능 대회 - ConvAI file 깊은바다 2019-03-25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