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70


 

https://brunch.co.kr/@kakao-it/243

 

 

 

카카오미니에서는 문장의 의미를 두 가지 단계로 판단합니다. 첫 번째는 음악, 라디오, 뉴스 등 어떤 주제의 봇인지 결정합니다. 두 번째는 무슨 작업을 원하는지 의도를 파악합니다. 같은 문장이라도 주제에 따라 다른 명령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키워드 매칭으로 하면 문장의 순서나 문맥이 다르면 정확하기 의미를 분류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카카오미니에서는 딥러닝의 기법인 CNN을 사용해서 이런 작업을 처리하였다고 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GPT3 유료화 기능 소개 영상 깊은바다 2020-06-15 910
GPT2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사이트 - Talk to Transformer file 깊은바다 2020-06-05 596
퓨샷(few-shot) 러닝에 최적화된 GPT3 모델 file 깊은바다 2020-05-30 1122
KoGPT2로 한국어 노래 가사 생성하기 깊은바다 2020-05-21 1768
인라이플의 한글 BERT 대형모델 깊은바다 2020-05-18 4240
꼼꼼하고 이해하기 쉬운 ELECTRA 논문 리뷰 깊은바다 2020-05-15 505
Meme 자동 생성기 깊은바다 2020-05-11 1011
딥러닝 상식추론 모델- COMET file 깊은바다 2020-05-04 436
페이스북의 일상대화 딥러닝 모델 - BlenderBot file 깊은바다 2020-05-01 910
MS의 딥러닝 대화 모델 - DialoGPT file 깊은바다 2020-04-24 443
Dialog-BERT: 100억건의 메신저대화로 일상대화 인공지능 서비스하기 file [1] 깊은바다 2020-04-19 1079
장문의 대답을 평가하는 자연어처리 벤치마크 - TuringAdvice 깊은바다 2020-04-17 210
아마존, End-to-End 딥러닝 기술을 고객서비스에 챗봇에 적용 깊은바다 2020-03-17 467
딥러닝 질의응답 시스템인 cdQA-suite 깊은바다 2020-03-08 1117
LG 사이언스파크에서 만든 한글 MRC(기계독해) 데모 file [2] 깊은바다 2020-03-07 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