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94


 

https://brunch.co.kr/@kakao-it/243

 

 

 

카카오미니에서는 문장의 의미를 두 가지 단계로 판단합니다. 첫 번째는 음악, 라디오, 뉴스 등 어떤 주제의 봇인지 결정합니다. 두 번째는 무슨 작업을 원하는지 의도를 파악합니다. 같은 문장이라도 주제에 따라 다른 명령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키워드 매칭으로 하면 문장의 순서나 문맥이 다르면 정확하기 의미를 분류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카카오미니에서는 딥러닝의 기법인 CNN을 사용해서 이런 작업을 처리하였다고 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카카오미니의 명령어 분류 방법 - GloVe와 CNN 사용 깊은바다 2018-05-07 723
Java에서 Word2vec 사용하기 깊은바다 2018-05-05 1694
딥러닝으로 욕설 탐지하기 file [2] 깊은바다 2018-05-04 1132
챗봇에서 유사한 문장 자동인식 방법 file 깊은바다 2018-04-27 5297
Gluon으로구현해보는 한영기계번역 모형 깊은바다 2018-04-13 320
문장 입력 이진분류 모델 레시피 - 영화평점 학습 [3] 깊은바다 2018-04-04 680
잡담봇 삽질기 - 문봇에서 딥러닝 Seq2Seq로 문장 생성 깊은바다 2018-03-25 908
챗봇에 딥러닝 학습을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 file 깊은바다 2018-03-23 6747
RNN과 Torch로 발라드곡 작사하기 깊은바다 2018-03-23 584
딥러닝을 사용한 감성분석기 개발 깊은바다 2018-02-22 1714
한국어 자연어처리를 위한 딥러닝 깊은바다 2018-02-14 3694
딥러닝을 사용한 챗봇 개발방법 정리 file 깊은바다 2018-02-03 25867
구글 딥러닝 자연어 처리 오픈소스 SyntaxNet file 깊은바다 2017-12-28 2845
쉽게 씌어진 Word2Vec [2] 깊은바다 2017-12-25 1229
딥러닝 기반 자연어처리 기법의 최근 연구 동향 [2] 깊은바다 2017-12-17 1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