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22

챗봇은 산업을 뒤흔들었을까?

조회 수 407 추천 수 0 2018.11.06 20:03:30


 

https://brunch.co.kr/@dol74/141

 

 

 

"결론적으로 바로 우리가 익숙한 모바일앱UI는 공간적 효율성을 강조한 반면, 챗봇UI는 사람의 대화 방식과 유사하게 시간적 개념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앱UI는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기능과 정보가 배치되어 있고, 반면 챗봇UI는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대화 전까지는 필요한 대화 정보만 노출되는 방식인 셈이죠.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챗봇UI에는 말풍선 외부 영역에는 비효율적인 공간이 많이 남아있는 것입니다."

 

 

 

요즘 들어 대화창 챗봇의 한계를 지적하는 글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사실 2016년 이후 2년 동안의 실험에서 큰 성과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대화창 방식은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대화 자체가 중요하거나 감성적인 교감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여전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타로챗봇 라마마입니다. 물론 운세라는 정보를 보여주긴 하지만 그것보다는 친근한 말투로 재미있게 이야기를 하는게 핵심입니다. 만약 타로 사진과 함께 긴 운세 텍스트만 보여줬다면 이렇게 큰 인기를 얻지 못했을 것입니다.

 

아직 대화 인터페이스는 시작 단계일 뿐입니다. 기술 및 UX 측면에서 앞으로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챗봇, 그것이 알고싶다 깊은바다 2018-11-14 648
챗봇은 산업을 뒤흔들었을까? 깊은바다 2018-11-06 407
구글은 챗봇이 나쁜 생각이었다고 인정했다 file 깊은바다 2018-10-29 1958
챗봇, AI스피커 왜 불편한가? 깊은바다 2018-10-26 458
인공지능기반 챗봇서비스의 국내외 동향분석 및 발전전망 깊은바다 2018-10-25 566
음성비서가 아이에게 끼치는 영향 - Growing up with Alexa [2] 깊은바다 2018-10-17 285
챗봇의 한계와 미래 file 깊은바다 2018-10-15 6404
아마존 알렉사의 drop in 기능과 사생활 침해 깊은바다 2018-10-01 414
Chatbase를 통한 분석 깊은바다 2018-09-29 345
AI시대에 맞는 서비스 개발 깊은바다 2018-09-18 459
카카오 봇 플랫폼 소개 깊은바다 2018-09-11 489
해외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 분석 깊은바다 2018-08-27 237
어린이는 알렉사에게도 please~, thank you라고 해야 할까? 깊은바다 2018-07-14 271
챗봇 스토어의 필요성 file 깊은바다 2018-07-01 442
진정한 쌍방향 상호작용은 인공지능을 필요로 한다 깊은바다 2018-06-21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