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48


올해의 대표 발명품으로 소셜로봇 '지보'를 선정한 <타임>의 표지.

 

http://www.hani.co.kr/arti/PRINT/822841.html

 

 

 

MIT 교수였던 신시아 브리질이 만든 소셜 로봇인 지보가 타임지가 뽑은 올해의 발명품에 뽑혔습니다. 지보는 2014년 크라우딩 펀드를 시작했는데 그 후 3년이나 지난 올해 말에서야 출시가 되었습니다. 이미 비슷한 기능을하는 아마존 에코가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서 지보가 시장에서 성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게다가 아마존 에코는 10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는데 지보는 90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입니다. 물론 카메라가 있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여주는 로봇이긴 하지만 쉽게 구입을 결정하기에는 너무 높은 가격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지보는 1990년대 신시아 브리질이 MIT에서 만든 키스멧(Kismet)이란 로봇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카메라로 주변을 인식할 수 있고 여러가지 표정을 보이며 사람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말은 할 수 없지만 내 눈을 바라보고 관심을 가져주는 등 단순한 행동만으로도 감정적인 교감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지보는 키스멧의 이러한 기능을 그대로 이어받았습니다. 아마존 에코가 단순히 음악을 듣고 주문을 하는 등 기능 중심이라면, 지보는 좀 더 친근하고 감성을 자극하는 소셜 로봇에 가깝습니다. 일본 소프트뱅크에서 개발한 페퍼처럼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용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와 눈을 맞추고 나에게 관심을 보여주는 친구같은 존재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아마존 같은 대기업에서 만든 제품이 아니라 기능면에서 많이 부족합니다. 아마존 에코처럼 음악을 플레이하거나 쇼핑몰에서 주문을 할 수도 없습니다. 또한 아직 대화 기능도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그리고 카메라로 계속 나를 바라보며 지켜보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다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이건 앞으로 가정용 로봇이 해결해야할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지보는 인공지능 스피커가 지향해야할 목표에 가깝지 않을가 합니다. 현재 아마존, 애플, 구글, 네이버, 카카오톡, SK, KT 등 많은 기업들에 이런 가정용 인공지능 기기에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단순히 음성만 인식하지만 결국 지보처럼 좀 더 인간과 교감할 수 있는 로봇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날씨 챗봇 - Poncho file 깊은바다 2018-02-23 555
타임지 올해의 발명품에 뽑힌 소셜 로봇 - 지보(Jibo) 깊은바다 2017-12-17 920
네이버 블로그 스마트봇 file 깊은바다 2017-12-04 544
홀로그램 미소녀 개인비서 - 게이트 박스 [2] 깊은바다 2017-11-24 679
심스키의 일기, 샐리와 보낸 하루 - 인공지능 스피커 웨이브 사용기 file 깊은바다 2017-09-21 235
어드벤처 게임 챗봇 - 왕좌의 게임 서바이벌 file 깊은바다 2017-05-19 479
카메라로 의상에 대해 조언을 해주는 인공지능 비서 - 아마존 에코 룩 [2] 깊은바다 2017-05-03 316
이상형 월드컵 챗봇 - Swelly file [1] 깊은바다 2017-04-24 495
한국의 챗봇들 사용 후기 깊은바다 2017-03-29 1111
한국 챗봇의 원조 - 맥스 file 깊은바다 2017-03-20 1328
인공지능 비서인 구글 어시스턴트가 내장된 메신저 - 알로 깊은바다 2017-03-05 381
SKT 인공지능 스피커 - 누구 file 깊은바다 2017-02-28 328
이메일로 미팅을 잡아주는 인공지능 비서 - Amy file 깊은바다 2016-04-02 342
채팅봇 - Mutsuku 깊은바다 2016-03-25 678
교육용 대화 장난감 - CogniToys 깊은바다 2016-03-25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