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116

모라벡의 역설은 틀렸다?

조회 수 1433 추천 수 0 2018.06.30 19:03:47


HPM1995-small.jpg

 

 

 

인공지능 분야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로 '모라벡의 역설'이 있습니다. 로봇공학을 연구하는 카네기 멜론 대학의 교수인 한스 모라벡이 했던 말인데 사람에게 쉬운 것은 로봇에게 어렵고, 로봇에게 쉬운 것은 사람에게 어렵다는 아이러니를 뜻합니다. 그가 했던 말은 정확하게 다음과 같습니다.

 

"지능 검사나 체스에서 어른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는 컴퓨터를 만들기는 상대적으로 쉬운 반면, 지각이나 이동 능력 면에서 한 살짜리 아기만 한 능력을 갖춘 컴퓨터를 만드는 일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인지/운동 능력과 추론 능력의 차이점을 말한 것인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비교 대상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추론은 체스나 지능 검사 같이 정형화되고 단순한 것을, 인지/운동은 사람과 같이 복잡한 수준을 같은 선상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 딥러닝이 발전하면서 사진속의 물체를 판별하는데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지 능력에서 이제 사람을 앞서가기 시작한 것입니다. 하지만 목표를 설정하고 할 일을 계획하거나 대화를 조리있게 말하는 것과 같이 복잡한 추론이 필요한 것은 아직 기계로 구현하기가 엄청나게 어렵습니다.

 

 

 

앞으로 인지나 운동은 몇 년안에 사람의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인간과 같이 고차원적인 사고를 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것은 아직도 요원한 일입니다. 아마 그것이 가능할 때 레이 커즈와일이 말한 것처럼 특이점이 오지 않을까요. 그가 예측한 2045년까지는 아직 20~30년이 남았습니다. 과연 우리 앞에 어떤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중국의 무인편의점 사용기 깊은바다 2018-09-19 170
MBC 다큐 10년후의 세계 file 깊은바다 2018-09-18 248
인공지능과 기본소득 [2] 깊은바다 2018-09-16 259
과학다큐 비욘드 - 인공지능 깊은바다 2018-08-20 320
딥러닝 구루가 말하는 인공지능의 실체 - 비지도학습과 상식 깊은바다 2018-08-11 446
인공지능에게 제압당하지 않고, 인공지능에게 힘을 얻는 방법 깊은바다 2018-08-05 211
인공지능을 인간이 통제할 수 있을까 [2] 깊은바다 2018-07-23 278
인공지능과 창의력 [3] 깊은바다 2018-07-04 269
모라벡의 역설은 틀렸다? file 깊은바다 2018-06-30 1433
영화 오토마타와 초지능의 탄생 깊은바다 2018-06-04 240
알고리즘 사회, 새로운 사회계약이 필요하다 깊은바다 2018-06-03 119
인공지능과 일자리 file 깊은바다 2018-05-17 221
고독의 시대와 AI 깊은바다 2018-04-01 185
데이터 사이언스 인터뷰 질문 모음집 깊은바다 2018-02-19 939
Prolog로 간단한 추론 프로그램 만들기 깊은바다 2018-02-08 3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