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Dev - 인공지능 개발자 모임
- 정보공유
- 일반 인공지능
자의식이란 타인과 구별되는 자아로서의 자기에 대한 인식이라 정의됩니다. 데카르트가 말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처럼 자기가 생각한다는 사실 자체를 의식하고 있어야 자의식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개나 고양이 같은 포유류는 자의식이 있을까요? 물론 그들의 생각을 읽지 못하기에 알 수 없지만 옆에서 관찰해보면 자신을 인식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물고기나 곤충, 더 나아가 단세포 동물이 자의식이 있는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종교적인 관점에서 영혼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과학적인 분석만 다루겠습니다.
유전자 속에는 어떤 상태일때 이렇게 행동하라는 지침이 있습니다. 그리고 진화를 통해 유전자가 변화하면서 환경에 적응해왔습니다. 하지만 그 속도가 매우 느려 환경이 급격히 바뀌면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좀 더 빠르게 행동을 결정하며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뇌가 발달하였습니다.
아마 처음에는 단순히 신경세포들이 모여있는 것이라 생각한다는 개념이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다 점점 뇌가 정교해지고 복잡해지면서 어느순간 의식이 창발되었을 것이라 여겨집니다.
지금 딥러닝 기술도 부분적으로는 인간만큼 뛰어난 지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물을 구분하고 게임을 학습하며, 심지어 바둑에서 프로기사를 이기기도 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범용 인공지능이 나오기는 멀었습니다.
그 이유는 아직 우리의 뇌가 어떻게 학습하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만약 뇌과학이 더 발달하여 그 비밀을 파악할 수 있다면 인간과 비슷한 뇌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새의 날개와 비행기의 날개의 구조가 다르듯이 꼭 똑같은 방식이 아니더라도 기본 원리만 같다면 가능할 것입니다.
그렇게 인공두뇌가 세상을 인식하고 스스로 학습하면서 점점 복합한 구조로 발전한다면 생명체가 그랬던 것처럼 어느 순간 자의식을 갖게 될지 모릅니다. 그때서야 비로소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인공지능이 나타날거라 생각합니다.
지금은 딥러닝이 주로 지도학습이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앞으로 비지도학습이 발달할 것이라 예측합니다. 누가 가르쳐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스스로 세상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합니다.
사물이나 인식에 대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야 그 다음에 각각의 패턴을 연결지을 수 있습니다. 아기가 먼저 물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부모가 그것이 뭔지 알려주는 것처럼 말입니다.
지금까지 강인공지능은 먼 미래에나 가능한 일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딥러닝의 발전속도를 보면 그렇게 멀지 않은 것도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