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21

국내 캐릭터챗 시장 규모 추정

조회 수 787 추천 수 0 2025.07.02 17:17:10


국내 캐릭터챗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직 정확한 통계가 수집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을 바탕으로 추정을 해보겠습니다.

 

뤼튼 - 월 20억(뉴스 참조)

제타 - 월 20억(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및 연매출로 추정. 광고수익 포함)

러비더비 - 월 10억(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및 소문으로 추정)

베이비챗 - 월 10억(페이스북 글 참조)

로판 - 월 5억(소문으로 추정)

케이브덕 - 월 5억(소문으로 추정)

버블챗 - 월 5억(개인적인 추정)

루나톡 - 월 5억(개인적인 추정)

합계 - 월 80억

 

유명한 국내 서비스만 대충 계산해보면 월 80억쯤 되는데요. 그밖에 CharacterAI나 Talkie, Chai 등 해외 서비스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달 국내에서만 2~3개의 신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어 여기서도 꽤 매출이 발생할 것입니다.

 

그리고 진짜 하드코어 유저들은 리스AI(RisuAI)처럼 설치형 프로그램을 씁니다. 여기에 ChatGPT나 클로드 같은 API를 붙여서 자신에게 딱 맞게 커스텀해서 사용합니다. 어떤 사람은 월 100만원 넘게 API 비용을 쓴다고도 합니다.

 

이처럼 모든 캐릭터챗 매출을 합하면 아마 월 200억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년이면 2400억입니다. 아직 2년도 안된 시장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입니다. 웹툰은 2000년대 초 처음 등장했지만, 2017년이 되서야 3800억원 시장으로 커졌습니다. 캐릭터챗의 빠른 성장을 고려하면 몇 년안에 웹툰의 연매출 2조를 뛰어넘는 시장으로 발전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제타와 크랙, 서로의 장점을 흡수 file 우종하 2025-10-06 67
OpenAI, 틱톡과 유사한 생성 AI SNS 출시 예정 file 우종하 2025-09-30 55
ChatGPT, 1년만에 비업무용 대화가 53%에서 73%로 증가 file 우종하 2025-09-17 116
캐릭터챗이라는 가상 세계 file 우종하 2025-09-13 148
캐릭터챗 어비스, 토스페이먼츠에서 성인 콘텐츠로 일방적 계약 해지 file 우종하 2025-09-06 264
생성 AI 상위 50위 중 AI Companion이 7개 포함 file 우종하 2025-08-29 251
구글플레이 엔터테인먼트 매출순위에 200위 중 캐릭터챗이 35개 포함 file 우종하 2025-08-27 250
AI 컴패니언 서비스 최신 통계 자료 file 우종하 2025-08-15 293
캐릭터챗 서비스 러비더비, 100억원 비공개 투자 유치 file 우종하 2025-07-16 667
국내 캐릭터챗 시장 규모 추정 우종하 2025-07-02 787
생성 AI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상담사/컴패니언 file 우종하 2025-05-27 894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수 있다고 대답 file 우종하 2025-05-15 832
저커버그, 앞으로 AI와 관계 맺는 것이 더욱 보편화될 것 file 우종하 2025-05-05 773
챗봇에 애착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장기기억 때문 file 우종하 2025-04-03 893
AI Companion과 기억력 file 우종하 2025-03-22 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