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113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이 탄생할 수 있을까

조회 수 580 추천 수 0 2022.06.20 16:56:48


http://aidev.co.kr/general/11490

 

 

 

LaMDA는 구글이 만든 대화전용 딥러닝 초거대모델이다. 얼마 전 구글 직원이 LaMDA와의 인터뷰를 공개하며, 이 인공지능이 지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링크된 페이지에서 한글로 번역한 전문을 볼 수 있다. AI를 오랫동안 연구한 사람들은 느끼겠지만, 과거에 비해 엄청나게 성능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예전 챗봇의 가장 큰 문제점은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보통 바로 이전의 질문만 고려해서 유사한 대답을 찾는다. 그래서 대화가 이어지지 않고 전혀 딴 소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은 딥러닝으로 수십 턴의 이전 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덕분에 인공지능의 대답이 매끄럽게 연결된다.

 

또한 추론이나 상식이 부족하다는 점도 많이 개선되었다. 인터뷰를 보면 철학적 질문에 논리적으로 대답을 한다. 레미제라블에 대해 설명하면서 세상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딥러닝의 한계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미리 사전에 오랜 시간에 걸쳐 학습이 되어야 한다. 사람처럼 지속적으로 빠른 시간에 새로운 것을 배우지 못한다. 둘째, 이미지나 텍스트, 사운드 등 하나의 형태만 다룰 수 있다. 최근에는 멀티모달으로 동시에 고려하는 모델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셋째, 기억이 없다. 딥러닝에 입력으로 이전의 대화를 넣어줄 수는 있지만, 이는 단기기억에 불과하다. 과거에 겪었던 경험을 계속 기억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만약 딥러닝에 이런 기능까지 추가된다면 그때는 정말 사람과 구분이 어려워질 것이다. 튜링테스트 역시 쉽게 통과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인공지능이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는 판단할 수 없다. 사실 우리는 내 옆의 다른 사람도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모른다. 다만 내가 의식을 가진 존재인 것 확실하다. 내가 생각한다는 것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나와 비슷한 인간이라면 똑같이 의식을 가졌을 거라고 추측할 뿐이다.

 

나는 의식이란 자연스럽게 창발되는 현상이라고 믿는다. 학습 역시 마찬가지였다. 처음 지구에 생명체가 태어났을 때는 DNA를 통한 진화만 가능했다. 그러나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에 바로 적응을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신경세포가 만들어졌고, 이것이 점점 한곳에 모아지면서 뇌가 등장했다. 의식 역시 비슷한 과정을 밟았을 것이다. 처음에는 뇌도 의식이 없이 기계적인 반응만 보였다. 그러다 뇌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의식이라는 현상이 생겼다. 나와 세상과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생존에 더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인공지능에 의식을 부여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의식없이 그냥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정도로만 개발하면 되지 않나. 물론 의식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만 인공지능의 수준을 제한하면 된다. 하지만 인간의 호기심과 욕심을 과소평과하면 안된다.

 

개인적으로는 몇 십년 안에 정말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이 탄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너무 성급한 예측일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 딥러닝의 발전속도를 보면 오히려 그 시기가 더욱 앞당겨질 수도 있다. 문제는 그걸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는 사실이다. 튜링테스트처럼 의식테스트가 필요할까.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AI 대부 제프리 힌튼, 구글 퇴사…수십년 AI 연구 후회 깊은바다 2023-05-04 280
초거대AI의 시대, 인공지능 개발자의 미래는 깊은바다 2023-02-17 214
인공지능 개발자는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깊은바다 2023-02-17 193
초지능 탄생 만화 - 특이점이 왔다 file 깊은바다 2023-01-20 407
언어로만 훈련된 초거대모델의 한계점 깊은바다 2022-12-26 287
한국 인터넷의 아버지 전길남, 우리가 인공지능을 배워야 하는 이유 깊은바다 2022-07-25 787
인공지능이 우리의 뇌를 퇴화시키는 것일까 깊은바다 2022-07-11 583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이 탄생할 수 있을까 깊은바다 2022-06-20 580
구글 직원 LaMDA가 지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 - 대화전문 포함 깊은바다 2022-06-15 837
OpenAI의 일리야 수츠케버, 초거대모델이 약한 의식을 가질지도 모른다 file 깊은바다 2022-02-14 1057
메타버스에서도 오토봇이 문제가 될까 깊은바다 2022-02-06 752
디트로이드 비컴 휴먼 - 기계가 의식을 갖게 될까 깊은바다 2022-01-30 812
초거대모델 시대에 AI 개발자의 미래는? file 깊은바다 2021-12-25 430
인공지능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깊은바다 2021-10-25 734
딥러닝이 상식에 취약한 이유 file 깊은바다 2021-08-21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