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Dev - 인공지능 개발자 모임
- 정보공유
- 일반 인공지능
글 수 113
< 가루의 Prolog 강좌 >
- 기본 동작 방식
- 아톰과 변수
- 사실이란?
- 규칙이란?
프롤로그(Prolog)는 1973년 프랑스 마르세유 대학교의 알랭 콜메르가 개발한 것으로 논리형 프로그래밍 언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C나 파이썬 등 절차형 언어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글에서 프롤로그로 어떻게 추론을 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1
2
|
father(john, mike).
father(mike, jerry).
|
cs |
위의 father, john, kate는 모두 아톰(atom)입니다. 상수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톰을 사용하여 john은 mike의 father, mike는 jerry의 father라는 사실(fact)를 정의하였습니다. 특이한 점은 father와 같은 논리적 관계를 상수처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1
2
3
4
|
grandfather(X, Z) :- father(X, Y), father(Y, Z).
?- grandfather(john, jerry).
true.
|
cs |
위의 코드에서 X, Y, Z는 변수입니다. 그리고 :- 로 정의된 것은 규칙(rule)으로 논리적인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 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상태입니다. john이 jerry의 grandfather인지 물어보면 true를 반환합니다.
1
2
3
4
5
|
male(X) :- father(X, _).
?- male(X).
X = john.
X = mike.
|
cs |
_ 는 어떤 값이라도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X가 될 수 있는 모든 아톰을 반환합니다.
이처럼 프롤로그는 추론 과정을 매우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과거에 전문가 시스템 같이 규칙기반의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