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20
https://byline.network/2020/07/24-78/
"루다의 대화 모델은 크게 두 가지 방식이다. 하나는 리트리벌이고 다른 하나는 제너레이션이다. 리트리벌 같은 경우는, 이미 질문에 대한 답변 데이터베이스가 세팅이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루다 같은 경우, 수억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질문에 대한 답으로 준비되어 있고 그중에서 현재의 컨텍스트에 맞는 것을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선택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하나, 제너레이션은 답변의 생성을 말한다. 대화에 맞춰서 즉각적으로 단어를 생성해내는 거다. 각각의 장점이 있다. 리트리벌은 사람이 이미 한 말 중에 고르기 때문에 되게 재미있고 센스있는 표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말만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제너레이션은 그런 제한이 없고 플렉서블하지만, 학습을 시키는데 엄청난 예산이 든다. 그리고 아직 (지금의 수준에서는) 엄청나게 재미있는 말을 생성하지 못한다. 플렉서블하지만 평범하다."
챗봇 이루다의 개발사인 스캐터랩 대표와의 인터뷰입니다. 일상대화 챗봇의 현재 기술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목표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좋은 내용이 많으니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이루다에 생성 모델도 일부 적용을 했네요. 과연 어떤 방식으로 구현을 했는지 궁금합니다. 단순히 연구 차원에서 하는 것과 실제 상용화 수준은 큰 차이가 있을 텐데요. 기회가 되면 발표나 블로그를 통해서 공개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