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12

챗봇의 대화 자체는 수익 모델이 아니다

조회 수 1175 추천 수 1 2019.08.06 15:25:21


1_So6Or_VAH6pnnVEtv2-T-A.png

 

 

 

어제 지인분과 감성챗봇에 대한 얘기를 하다가, 대화 자체로는 돈을 벌기 힘들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저도 상당히 공감이 갔습니다. 꼭 감성챗봇만이 아니라 목적지향챗봇도 마찬가지입니다.

 

구글홈이나 알렉사에 매달 돈을 납부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쇼핑몰 챗봇이 한 번 대화할 때마다 요금을 부과하지는 않습니다. 그보다는 좀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일 뿐입니다. 실제로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핵심적인 요소가 필요합니다. 가상비서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추가적인 이익을 얻고, 쇼핑몰 챗봇은 상품을 판매하여 돈을 법니다.

 

물론 사람과 똑같은 수준의 대화 인공지능이 구현된다면 다를 수 있습니다. 대화 자체만으로 사용자가 만족을 얻는다면 비용을 지불할만 합니다. 하지만 아직 그런 기술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대화에 목적을 두기보다는 수단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과거 심심이는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배너광고를 제외하고는 수익을 얻는데 실패했습니다. 단순히 대화만 가지고는 사람들의 지갑을 열기엔 부족했습니다. 반면에 라마마는 현재 수익화에 조금씩 안착하고 있습니다. 타로나 심리테스트 중 일부를 유료로 제공하고 있는데, 사실 대화가 빠지더라도 충분히 경쟁력 있는 컨텐츠입니다.

 

만약 대화기반의 제품을 만든다면, 자신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그다음에 대화를 통해 이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앞으로 B2B만이 아니라 B2C로 성공하는 챗봇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국내 캐릭터챗 시장 규모 추정 우종하 2025-07-02 52
생성 AI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상담사/컴패니언 file 우종하 2025-05-27 443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수 있다고 대답 file 우종하 2025-05-15 433
저커버그, 앞으로 AI와 관계 맺는 것이 더욱 보편화될 것 file 우종하 2025-05-05 415
챗봇에 애착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장기기억 때문 file 우종하 2025-04-03 487
AI Companion과 기억력 file 우종하 2025-03-22 447
GPT-4.5, 일상대화 능력이 훨씬 향상됨 file 우종하 2025-03-07 418
가상 데이트 영상이 인기를 끄는 이유, AI 캐릭터 챗봇도 마찬가지 우종하 2025-03-07 451
AI 캐릭터 챗봇에 해자가 있을까 우종하 2025-03-04 476
베이비챗, MRR(월 반복 매출) 5억원 달성 file 우종하 2025-03-03 478
AI 캐릭터가 외로움을 해결할 수 있을까 우종하 2025-02-19 489
AI 캐릭터 서비스들 가격 비교 우종하 2025-01-11 1155
뤼튼, 캐릭터챗으로 월 10억 매출 달성 file 우종하 2025-01-04 622
아니메(애니메이션)가 세상을 삼키다 file 우종하 2024-12-10 565
일상대화 챗봇의 2가지 분야 - 엔터테인먼트와 AI Companion 깊은바다 2024-11-26 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