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93


 

https://jiho-ml.com/weekly-nlp-31/

 

 

 

이루다의 작동 원리에 대한 글입니다. 챗봇은 크게 문장을 직접 생성하는 방식과 DB에서 적절한 문장을 찾아서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페이스북의 Blender, 구글의 Meena, OpenAI의 GPT-3(챗봇전용은 아니지만)가 생성 기반의 대표적인 모델입니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대답을 하려면 모델의 크기가 커야 되고, 그만큼 학습과 추론에 걸리는 비용이 높아집니다. 이루다는 후자의 방식을 사용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챗봇을 구현했습니다.

 

우선 멀티턴 대화 구조로 수정한 DialogBERT를 사전훈련 합니다. 이렇게 만든 모델을 인코더로 사용하여 세션 문장(여러 턴의 이어진 문장들, Q1/A1/Q2)을 벡터로 변환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세션 벡터와 DB에 있는 세션 벡터들을 코사인 유사도로 비교합니다. 이렇게 입력 세션과 가장 비슷한 후보 세션 문장들을 추려내는게 첫 번째 단계입니다.

 

 

 

그 다음으로 후보 세션에서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세션을 찾아 해당 답변(A2)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정확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Reranker라는 새로운 모델로 후보 세션들에서 최종 답변을 선택합니다. 이 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Cross-Encoder입니다. BERT 같은 모델에 (현재 대화의 세션 + 후보 세션의 답변)를 묶어서 입력으로 넣습니다. 출력은 세션 다음에 답변 문장이 이어지는가의 확률입니다. 이렇게 하면 세션과 답변의 전체 문맥을 고려하여 정확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계산량이 너무 크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모든 후보 답변의 수만큼 새로 계산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하나는 Bi-Encoder입니다. 말 그대로 인코더를 세션과 답변 두 개로 분리합니다. 그리고 각 인코더의 출력을 연결하여 최종 판단을 합니다. 답변 후보들은 미리 인코더를 사용하여 벡터로 계산해놓을 수 있습니다. 현재 대화 세션은 항상 변하기 때문에 그때마다 계산합니다. 대신 한 번만 인코더로 뽑아내어 모든 답변 후보에 공통으로 적용하면 됩니다. 아직까지는 속도 문제 때문에 Cross-Encoder보다 Bi-Encoder가 더 적합합니다. 이루다는 Bi-Encoder를 변형한 Poly-Encoder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죽은 약혼자를 챗봇으로 살려낸 남자 - Project December 깊은바다 2021-07-27 632
인터넷 검색을 하고 장기기억을 저장하는 페이스북의 챗봇 - Blenderbot 2 file 깊은바다 2021-07-19 760
GPT-3 데모 사이트 - gpt3demo.com 깊은바다 2021-07-13 3793
6B 파라미터의 GPT-J_6B 오픈소스 모델 깊은바다 2021-07-01 5244
GPT-3를 활용하여 주석을 코드로 바꿔주는 GitHub Copilot 깊은바다 2021-06-30 416
구글의 딥러닝 대화 모델 - LaMDA 깊은바다 2021-06-13 636
일상대화 딥러닝 모델들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Openchat 깊은바다 2021-06-01 623
GPT-3를 사용하여 코딩을 하는 MS의 파워FX 깊은바다 2021-06-01 299
텍스트 스타일을 바꾸는 딥러닝 기술 깊은바다 2021-06-01 493
KoGPT2 v2.0 공개 깊은바다 2021-05-03 1641
이루다 같은 챗봇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 깊은바다 2021-04-03 1822
이성에게 말을 거는 작업멘트를 GPT-3로 생성 file 깊은바다 2021-03-24 637
GPT-3로 NPC와 대화를 할 수 있는 게임 시뮬레이터 깊은바다 2021-02-22 1512
GPT-2를 사용한 텍스트 압축 기법 file 깊은바다 2021-02-19 523
딥러닝 자연어처리 라이브러리 - Pororo file 깊은바다 2021-02-03 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