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Dev - 인공지능 개발자 모임
- 정보공유
- 챗봇 딥러닝
글 수 293
최근에 공개된 카카오의 딥러닝 형태소분석기와 다른 제품들을 비교한 글입니다. 특히 띄어쓰기에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글은 영어와 다르게 단어들이 붙어있어도 대부분 독해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구어체(특히 카톡같은 메신저에서)는 띄어쓰기를 생략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제가 mecab을 쓰는 이유가 속도가 빨라서이기도 하지만 띄어쓰기 여부에 상관없이 형태소분석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khaiii는 한글자 단위로 입력이 들어가는데 빈칸도 하나의 캐릭터로 처리합니다. 그래서 사전기반의 다른 형태소분석기와 다르게 띄어쓰기 처리가 전혀 안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현업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기능이 반드시 필요할 듯 합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될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