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212

국내 캐릭터챗 시장 규모 추정

조회 수 82 추천 수 0 2025.07.02 17:17:10


국내 캐릭터챗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직 정확한 통계가 수집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을 바탕으로 추정을 해보겠습니다.

 

뤼튼 - 월 20억(뉴스 참조)

제타 - 월 20억(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및 연매출로 추정. 광고수익 포함)

러비더비 - 월 10억(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및 소문으로 추정)

베이비챗 - 월 10억(페이스북 글 참조)

로판 - 월 5억(소문으로 추정)

케이브덕 - 월 5억(소문으로 추정)

버블챗 - 월 5억(개인적인 추정)

루나톡 - 월 5억(개인적인 추정)

합계 - 월 80억

 

유명한 국내 서비스만 대충 계산해보면 월 80억쯤 되는데요. 그밖에 CharacterAI나 Talkie, Chai 등 해외 서비스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달 국내에서만 2~3개의 신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어 여기서도 꽤 매출이 발생할 것입니다.

 

그리고 진짜 하드코어 유저들은 리스AI(RisuAI)처럼 설치형 프로그램을 씁니다. 여기에 ChatGPT나 클로드 같은 API를 붙여서 자신에게 딱 맞게 커스텀해서 사용합니다. 어떤 사람은 월 100만원 넘게 API 비용을 쓴다고도 합니다.

 

이처럼 모든 캐릭터챗 매출을 합하면 아마 월 200억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년이면 2400억입니다. 아직 2년도 안된 시장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입니다. 웹툰은 2000년대 초 처음 등장했지만, 2017년이 되서야 3800억원 시장으로 커졌습니다. 캐릭터챗의 빠른 성장을 고려하면 몇 년안에 웹툰의 연매출 2조를 뛰어넘는 시장으로 발전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국내 캐릭터챗 시장 규모 추정 우종하 2025-07-02 82
생성 AI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상담사/컴패니언 file 우종하 2025-05-27 458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수 있다고 대답 file 우종하 2025-05-15 443
저커버그, 앞으로 AI와 관계 맺는 것이 더욱 보편화될 것 file 우종하 2025-05-05 415
챗봇에 애착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장기기억 때문 file 우종하 2025-04-03 487
AI Companion과 기억력 file 우종하 2025-03-22 449
GPT-4.5, 일상대화 능력이 훨씬 향상됨 file 우종하 2025-03-07 419
가상 데이트 영상이 인기를 끄는 이유, AI 캐릭터 챗봇도 마찬가지 우종하 2025-03-07 451
AI 캐릭터 챗봇에 해자가 있을까 우종하 2025-03-04 478
베이비챗, MRR(월 반복 매출) 5억원 달성 file 우종하 2025-03-03 480
AI 캐릭터가 외로움을 해결할 수 있을까 우종하 2025-02-19 489
AI 캐릭터 서비스들 가격 비교 우종하 2025-01-11 1187
뤼튼, 캐릭터챗으로 월 10억 매출 달성 file 우종하 2025-01-04 622
아니메(애니메이션)가 세상을 삼키다 file 우종하 2024-12-10 565
일상대화 챗봇의 2가지 분야 - 엔터테인먼트와 AI Companion 깊은바다 2024-11-26 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