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
글 수 113

의식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Hod Lipson의 인터뷰

조회 수 180 추천 수 0 2019.07.15 15:08:52


Hod-Lipson_2880x1700_Lede_02.jpg

 

https://www.quantamagazine.org/hod-lipson-is-building-self-aware-robots-20190711/?fbclid=IwAR1Ioubrn75p-YGSrDlM7-XSfVYkvthEij0_JWlCgzJ6zm95apzOCYcr5iI

 

 

 

인공지능의 자의식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Hod Lipson의 인터뷰입니다. 2007년 테드에서 발표를 하기도 했습니다.

 

https://www.ted.com/talks/hod_lipson_builds_self_aware_robots?language=ko

 

 

 

지금까지 철학자나 뇌과학자,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의식의 비밀을 풀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하지만 아직 인간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는 사실만 확인할 뿐이었습니다. Hod Lipson은 관점을 바꿔 바닥부터 시작하자고 제안합니다.

 

138억년전 우주가 탄생하고, 45억년전 지구가 생성되고, 38억년전 최초의 생명이 태어났습니다. 당연히 이 개체는 의식을 갖고 있지 않았습니다. 단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생존을 위해 행동할 뿐입니다. 이렇게 환경에서 입력을 받아 운동 기관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신경세포입니다. 처음에는 몸 전체에 퍼져있다가 점차 한 곳으로 모이게 되며 뇌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처음 뇌가 생겨난 이유는 몸을 제어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마찬가지로 스스로 움직이는 방법을 배우는 로봇을 개발한다면, 그것이 의식으로 향하는 열쇠가 되지 않을까하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연구가 너무 초기 단계라 큰 성과는 없는 편입니다.

 

 

 

데미스 하사비스나 유발 하라리는 의식과 지능을 분리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저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능을 만들면 자연스럽게 의식이 창발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능이란 나를 둘러싼 환경을 인지하고 현재 상황에 맞는 최적의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물들이 무엇인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이는 당연히 나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인공지능 모델이 점차 복잡해지고 성능이 높아진다면, 어느 순간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인식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물론 의식이 없는 기계만으로도 충분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과학의 발전은 인위적으로 막기에는 불가능합니다. 결국 의식을 가진 로봇이 출현하는 특이점이 오게 될까요.

 

엮인글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얀 르쿤과 요슈아 벤지오, 초지능에 대한 설전 깊은바다 2019-10-07 799
인공지능 관련 테드(TED) 강연 목록 file 깊은바다 2019-10-05 4344
인공지능과 엔트로피 깊은바다 2019-09-18 1678
신입사원의 한숨을 덜어줄 기술, RPA 깊은바다 2019-09-15 456
인공지능은 인간을 차별하는가? 깊은바다 2019-08-28 203
오래된 AI 판별법 '튜링테스트'...여전히 유효한가? 깊은바다 2019-08-16 672
이것만 기억하세요 AI AI AI,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청와대 접견 깊은바다 2019-08-09 1074
중국의 아파트에 설치된 안면인식 시스템 깊은바다 2019-07-26 199
의식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Hod Lipson의 인터뷰 깊은바다 2019-07-15 180
데미스 하사비스 - 전이학습이 일반 인공지능으로 가는 열쇠 깊은바다 2019-07-10 389
이유를 설명해주는 딥러닝, XAI (Explainable AI) 깊은바다 2019-07-04 849
공유 경제와 자동화의 그늘 [2] 깊은바다 2019-05-18 212
소프트뱅크는 이제 AI트래픽으로 성장한다 깊은바다 2019-05-16 200
AI가 어떻게 인간 존엄성을 회복시키는가 깊은바다 2019-04-18 208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기 위해 진행한 다양한 노력들 깊은바다 2019-04-08 422